고혈압과 당뇨환자들의 건강관리가 어느 때보다 힘든 시기입니다. 복용하거나 바르는 약에 따라서 피부가 햇빛에 과도한 반응을 일으키는 광과민반응을 유의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봄과 여름에는 자외선이 다른 계절보다 강하고 노출되는 시간도 그만큼 많아져 조심해야 합니다.
광과민반응 일으키는 고혈압약과 당뇨약
평소 복용하고 있는 고혈압약과 당뇨약이 햇빛에 과민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의약품이 있다는 사실을 대부분의 고혈압과 당뇨환자들의 모르고 있습니다 광(光)과민반응은 광과민반응은 햇빛이나 인공조명의 자외선에 노출된 후 발생하는 발진, 물집, 두드러기 등 피부반응으로 광독성이나 광알레르기 반응으로 나타납니다. 의약품, 식품, 화장품 등 다양한 원인 때문에 광과민반응이 생길 수 있는데 원인이 되는 약물이나 화장품 사용을 중단하고 시간이 많이 경과하여도 과민반응이 지속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약물에 의한 광과민성 반응에는 광독성반응과 광알레르기반응이 있는데 광독성 반응은 약물의 분자가 특정 자외선 파장의 에너지를 흡수해 화학적 변화를 일으켜 주위 조직을 손상시킵니다. 또한 광독성반응은 즉각적이어서 약을 처음 복용하고 햇빛에 노출된 지 24시간 내에 발생합니다. 햇빛에 노출된 피부가 빨갛게 변하며 심한 통증과 햇빛에 의한 화상 증세를 보입니다. 많은 양의 약물을 복용한 경우 물집, 부풀어 오름, 두드러기도 발생할 수 있어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면 약물 치료를 중단하면 보통 2~7일 내에 사라집니다.
광알레르기 반응은 피부에 직접 바르는 제품과 자외선과의 반응에 의해 발생되는데 햇빛에 노출된 후 1~10일 뒤에 광알레르기 반응이 발생하며 햇빛에 재노출되면 24~48시간 내에 반응이 다시 나타납니다. 광알레르기 반응은 약물이나 화장품(자외선 차단제 포함)이 자외선 에너지를 흡수해 피부의 단백질에 흡착하여 알레르기성 발진을 일으키는 것입니다. 또 햇빛에 노출되지 않은 부위에 발생할 수도 있으며, 원인이 되는 피부적용 제품을 소량만 사용해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광과민반응을 일으키는 약물(성분)
- 항생제, 항균제 : 독시사이클린, 노르플록사신, 오플록사신, 시프로플록사신, 미노사이클린, 테트라사이클린 항류마티스약 : 답손, 금(오라노핀), 히드록시클로로퀸, 메토트렉세이트, 설파살라진
-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 피록시캄, 나프록센, 멜록시캄, 나부메톤, 잘토프로펜, 케토프로펜 고혈압약 : 캅토프릴, 딜티아젬, 니페디핀, 펠로디핀
- 당뇨병용제 : 글리피지드, 글리메피리드
- 항우울제 : 아미트립틸린, 독세핀, 이미프라민, 노르트립틸린, 트라조돈, 히페리시엑스
- 항히스타민제 : 염산세티리진 등
- 이뇨제 : 푸로세미드, 히드로클로로치아지드, 토르세미드
- 제모제 : 치오글리콜산
항생제, 항류마티스약, 소염진통제, 고혈압 약, 당뇨병 약 등이 광과민 반응을 일으킬 수 있으며, 특히 여름철 많이 사용하는 제모제도 광과민반응의 원인이 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또한 대부분의 약은 습기, 직사광선, 열에 약하므로 마개를 잘 닫아 서늘한 장소에 보관해야 약효의 감소나 변질을 막을 수 있습니다.
사용 중인 약의 포장이나 설명서가 없을 때에는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품통합정보시스템 홈페이지(https://nedrug.mfds.go.kr)에서 ‘제품명’을 검색해 사용 중인 약의 효과, 부작용 및 보관 등에 필요한 상세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광과민반응을 예방하려면
약물을 사용할 때는 햇빛에 노출되지 않는 것이 광과민반응을 예방하는 최선의 방법입니다. 그러나, 반드시 야외활동을 해야 한다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피부를 보호해야 합니다.
- 햇빛이 드는 곳을 피해 그늘에 있어야 한다.
- 정오(오전 10시~오후 2시)에는 햇빛에 대한 노출을 피한다.
- 밝은 색 계열의 옷, 긴 소매 상의, 긴 바지나 치마, 선글라스, 챙 넓은 모자 등으로 피부를 보호한다.
- 자외선차단지수가 높고 효율적인 UVA 필터 역할을 하는 자외선차단제를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