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육군 부사관(하사관) 지원대상 및 자격정보 알아보기

by 브리핑맨 2024. 6. 28.

부사관이란 하사, 중사, 상사, 원사의 계급을 가진 육·해·공군의 중견간부로서, 장교와 병사 사이의 중간 간부 역할을 수행하는 군인을 말합니다. 병과 별 개인의 특기와 적성에 따라 배치되어 분대 및 소대를 지휘하고, 병사들의 훈련, 교육, 행정, 정비, 부대 관리 등 폭넓은 업무를 수행합니다. 그 가운데 육군 부사관의 지원자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육군 부사관 모집
사진출처:육군본부

 

 육군 부사관 복무기간 및 정년 전역

- 단기복무 : 임관 후 4년

- 장기복무 : 7년 이상 복무(단기복무 + 3년)

※ 장기복무 지원시기 : 임관 4년차에 지원자 중 육군 계획 인원의 140%를 장기복무 예비자로 선발 후, 임관 6년차에 계획 인원의 100%를 확정 선발 (단, 여군은 의무복무기간을 고려하여 3년차에 예비 선발, 5년차에 확정 선발)

-정년 전역 : 하사(40세), 중사(45세), 상사(53세), 원사(55세)

 

지원대상 및 자격

구분 지원자격 양성교육 복무기간 모집시기
민간인 ㆍ 고졸 이상 학력 소지자
(중졸 : 국가기술자격증 취득자에 한해 지원 가능)
ㆍ 임관일 기준 만 18세 ~ 만 27세 남자 및 여자
(군 복무를 이미 마친자는 지원 자격 연령 연장, 하단참고)
※ 예비역 병장 중 육군훈련소 입영일 기준 전역 2년 이내자는 장려금 지급
21주 임관 후 4년 남: 연 3회
여: 연 2회
현역병 ㆍ 고졸 이상 현역 일병 ~ 병장
ㆍ 임관일 기준 만 18 ~ 27세 남자
12주 임관 후 4년 연 3회
전문대
군장학생
ㆍ 전문(폴리텍)대학 2학년 재학생 - 남자
3년제 학과는 3학년에서 지원 가능
장학금 지급(1개 학년 분)
ㆍ 전문의무부사관 : 임상병리과, 방사선과, 치위생과 2학년 재학생 - 남자 및 여자
장학금 지급(2개 학년 분)
ㆍ 전투부사관 : 협약 전투부사관학과 1학년 재학생 - 남자
장학금 지급(2개 학년 분)
21주 임관 후
5년
+
장학금
수혜기간
연 1회
전문하사/
전문병
ㆍ 고졸 이상 육군 현역병 중 전역 1 ~ 6개월 이내인 자
ㆍ 임관일 기준 만 18세 ~ 만 27세 남자
2주 임관 후
6 ~ 18개월
수시

※ 제대군인, 제대군인지원에 관한 법률시행령(대통령령 23735호) 제19조에 의거 응시연령 상한을 다음과 같이 연장 적용

– 1년 미만 복무 후 전역한 제대군인 : 1세 (만28세)

– 1년 이상 2년 미만 복무 후 전역한 제대군인 : 2세 (만29세)

– 2년 이상 복무 후 전역한 제대군인 : 3세 (만30세)

 

신체 등급

ㆍ 3급 이상자 및 신체등위 (신장 · 체중) 2급 이상자

ㆍ 시력 : 교정시력 양안 0.6 이상

성별/신장(cm) 1급 2급 3급 4급
남자 159미만       체중과 관계없이 4급
159이상
161미만
    17이상 ~ 33미만 17미만
33이상
161이상
196미만
20이상 ~ 25미만 18.5이상 ~ 20미만
15이상 ~ 30미만
17이상 ~ 18.5미만
30이상 ~ 33미만
17미만
33이상
196이상       체중과 관계없이 4급
여자 152미만       체중과 관계없이 4급
152이상
155미만
    17이상 ~ 33미만 17미만
33이상
155이상
184미만
20이상 ~ 25미만 18.5이상 ~ 20미만
25이상 ~ 30미만
17이상 ~ 18.5미만
30이상 ~ 33미만
17미만
33이상
184이상       체중과 관계없이 4급

※ 신장의 측정단위는 센티미터로 하되, 소수점 이하는 첫째자리까지 포함하며, 체중의 단위는 킬로그램으로 하되,

소수점 이하는 첫째자리까지 포함한다. BMI를 계산하고 산출된 BMI 지수 중 소수점 둘째자리 이하는 버린다.

(단, 신체등위(신장·체중) 3급도 지원은 가능하나, 최종선발심의에서 합·불 여부 판정)


※ 지원분야에 따라 신체등급은 다르거나 변경될 수 있으므로 육군모집 홈페이지를 꼭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전역하는 군 간부, 하사관, 직업군인 실업급여 받을 수 있나

전역한 군 간부나 직업군인은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지? 알아보려고 합니다. 직업군인이 의무복무를 하고 퇴역하는 경우 직업인으로서 월급을 받으며 일하는데 막상 전역하면 다음 취업까지

govbriefing.tistory.com